숫자형 자료형
변수에 숫자 넣을 수 있다. 당연히 소수점도 되고 사칙연산 순서 원리는 초등학교때 배운거랑 똑같다.
a = 7
b = 2
print(a + b) # 9
print(a - b) # 5
print(a * b) # 14
print(a / b) # 3.5
print((a + 3) * b) # 20
변수 a에 저장된 값에 연산을 한 후, 또 같은 변수 a에 저장할 수도 있음.
a = 5
a = a + 3 # 5+3 을 다시 a 에 저장
print(a) # 8
a += 3 # 이렇게 신기하게 줄여 쓸 수도 있음!
진짜 신기한건 몫, 나머지, 거듭제곱도 구할 수 있다!!
a = 7
b = 2
print(a ** b) # 거듭제곱 # 49
print(a // b) # 몫 # 3
print(a % b) # 나머지 # 1
Bool 자료형
참/거짓을 나타내는 불리언(Boolean) 자료형.
TMI - 영국의 수학자 겸 논리학자 조지 불(George Boole) 이름에서 따온거라구 한다.
불 자료형도 변수 선언할 때 값으로 넣을 수 있다. (등호 오른쪽 가능)
x = True # 참
y = False # 거짓
하지만 반대로 변수 이름으로 넣을 수는 없다. (등호 왼쪽 불가능)
True = 1 # SyntaxError: cannot assign to True
소문자로 쓸 경우, 자료형이 아니라 변수 이름으로 인식해버려서 쓸 수 없다.
z = true # NameError: name 'true' is not defined
보통 '비교연산자'의 결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.
print( 4 > 2 ) # True (크다)
print( 6 <= 5 ) # False (작거나 같다)
print( 3 == 7 ) # False ('같다'는 등호표시를 두번쓴다)
print( 1 != 9 ) # True ('같지 않다'는 느낌표를 붙인다)
문자열
'글'을 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을 '문자열'이라고 한다.
그냥 쓰면 변수이름과 헷갈리니까, 따옴표로 감싸서 표기를 구분해준다.
a = 100
b = "a" # 문자 a 를 의미함.
c = a # 변수 a 를 의미함.
print(a, b, c) # 100 a 100
큰 따옴표 작은 따옴표 둘 다 똑같다. 아무거나 써도 된다.
a = "Spinosaurus" # 큰 따옴표 써도 되고
a = 'Spinosaurus' # 작은 따옴표 써도 된다
문자열 + 문자열은 그냥 두 문자열을 이어붙인 문자열이다.
a = "Tyranno"
b = 'saurus'
print(a+b) # Tyrannosaurus
c = "20"
d = "24"
print(c+d) # 2024
문자열과 숫자형 자료를 더할 수는 없다.
a = "20"
b = 24
print(a+b)
# TypeError: can only concatenate str (not "int") to str
문자열 길이는 len() 함수를 써서 구할 수 있다. length 의 약자일듯.
print(len("Velociraptor")) # 12
print(len('I love Dinosaur')) # 15
오 띄어쓰기까지 문자로 인식해서 글자수를 세어줬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 기초] 딕셔너리 dictionary (0) | 2024.07.03 |
---|---|
[Python 기초] 리스트 list (1) | 2024.07.02 |
[Python 기초] 인덱싱, 슬라이싱 (0) | 2024.07.02 |
[Python 기초] 문자열 나누기 .split (0) | 2024.07.02 |
[Python 기초] 변수 선언 (0) | 2024.07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