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dekata 34

[프로그래머스] #24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

▶ 문제String 배열 Seoul의 element중 "Kim"의 위치 x를 찾아, "김서방은 x에 있다"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기. seoul에 "Kim"은 오직 한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음. ▶ 제한사항seoul은 길이 1 이상, 1000 이하인 배열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, 20 이하인 문자열"Kim"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음 ▶ 풀이def solution(seoul): for i in seoul: if i == "Kim": answer = seoul.index(i) return f"김서방은 {answer}에 있다"통과index() 함수는 해당 요소의 인덱스를 찾아준다근데 이 함수..

codekata 2024.07.21

[프로그래머스] #23 콜라츠 추측

▶ 문제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, 주어진 수가 1이 될 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이다. 작업은 다음과 같다. 1-1.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눈다.1-2.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한다.2.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. 예를 들어, 주어진 수가 6이라면 6 → 3 → 10 → 5 → 16 → 8 → 4 → 2 → 1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된다.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 완성하기. 단, 주어진 수가 1인 경우에는 0을, 작업을 500번 반복할 때까지 1이 되지 않는다면 -1을 반환하기. ▶ 제한사항입력된 num은 1 이상 8,000,000..

codekata 2024.07.19

[프로그래머스] #22 두 정수 사이의 합 (range(start,stop,step))

▶ 문제두 정수 a,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 만들기ex) a = 3, b = 5인 경우, 3+4+5=12 이므로 12를 리턴한다. ▶ 제한조건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a와 b는 -10,000,000 이상 10,000,000 이하인 정수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 있지 않음 ▶ 풀이a 부터 b 까지 범위를 지정해준 다음에 하나씩 다 더한다.큰수부터 작은수를 더하는거나, 작은수부터 큰수를 더하는거나 의미는 똑같으니까 range(a,b)를 쓰든 range(b,a)를 쓰든 상관없지 않을까 근데 문제는 range의 (start, stop) 에서 stop 은 미포함이라는점 ㅜrange(a, b+1) 로 범위를 지정하자니 b가 더 작..

codekata 2024.07.19

[프로그래머스] #21 하샤드 수

▶ 문제양의 정수 x가 하샤드 수이려면 x의 자릿수의 합으로 x가 나누어져야 함.ex) 18의 자릿수 합은 1+8=9이고, 18은 9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8은 하샤드 수임.자연수 x를 입력받아 x가 하샤드 수인지 아닌지 검사하는 함수 solution 만들기. ▶ 제한조건x는 1 이상, 10000 이하인 정수 ▶ 풀이우와 하샤드 수를 여기서 보네!정수 x의 각 자리수를 더한 total을 구한 다음에, x를 total으로 나눠주기! 간단하다def solution(x): total = 0 for i in str(x): # 문자열로 바꿔서 반복돌리기 total += int(i) # 한자리씩 더해서 총합 구하기 if x % total == 0: # x를 총합으로 나눈다 ..

codekata 2024.07.19

[프로그래머스] #20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(sort, sorted)

▶ 문제함수 solution은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음. n의 각 자릿수를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정수를 리턴해라.ex) n이 118372면 873211 리턴 ▶ 제한조건n은 1이상 8,000,000,000 이하 자연수 ▶ 풀이이거 배웠던거다!.sort() 함수를 사용해서 정렬해주면 된다.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주는데, 거꾸로 내림차순으로도 한번에 정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는데 기억이 안나서 찾아왔다.(reverse = True) 를 적용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된다def solution(n): return n.sort(reverse=True) # AttributeError: 'int' object has no attribute 'sort'틀림..숫자형 객체는 정렬하는 속성..

codekata 2024.07.18

[프로그래머스] #19 정수 제곱근 판별 (** % 잘쓰기)

▶ 문제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, n이 어떤 양의 정수 x의 제곱인지 아닌지 판단하려 함.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라면 x+1의 제곱을 리턴하고,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 아니라면 -1을  리턴하는 함수 만들기 ▶ 제한사항n은 1이상, 50,000,000,000,000 이하인 양의 정수 ▶ 풀이거듭제곱 연산자 ** 를 사용해서 풀었다.n**0.5 로 제곱근을 구하고, 그 값이 정수냐 소수냐에 따라 n이 제곱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.n의 제곱근이 정수 → n은 제곱수임n의 제곱근이 소수 → n은 제곱수가 아님def solution(n): if type(n**0.5) == int: # 제곱근이 정수이면 x = n**0.5 # x = n의 제곱근 ..

codekata 2024.07.18

[프로그래머스] #18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

▶ 문제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 만들기 ▶ 제한조건s의 길이는 1 이상 5 이하s의 맨앞에는 부호(+,-)가 올 수 있음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음s는 "0"으로 시작하지 않음 ▶ 풀이def solution(s): return int(s)통과! 새로 알게된 사실문자열 +, - 를 숫자 변환하면, 에러없이 숫자 앞의 부호로 취급해준다print(solution(+300)) # 300print(solution(-500)) # -500

codekata 2024.07.18

[프로그래머스] #17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(reverse)

▶ 문제자연수 n을 뒤집어 각 자리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형태로 리턴하기.ex) n이 12345 라면 [5,4,3,2,1] 리턴 ▶ 제한조건n은 10,000,000,000 이하인 자연수 ▶ 풀이def solution(n): answer = [] # 빈리스트 선언 for i in str(n): # 문자 변환 후 반복 answer.append(int(i)) # 숫자 변환 후 추가 answer.reverse() # 뒤집어주기 return answer통과!!!reverse() 함수 : 배열 내용의 순서를 반전시킨다.list = ['a', 'b', 'c', 'd', 'e']list.reverse()pri..

codekata 2024.07.18

[프로그래머스] #16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

▶ 문제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,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함.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,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. ▶ 제한조건x는 -10,000,000 이상 10,000,000 이하인 정수n은 1000 이하인 자연수 ▶ 풀이모르겠으니까 코드 그려보기규칙이 생각보다 간단하네def solution(x, n): answer = [] # 빈리스트 선언 for i in range(1, n+1): # 1부터 n까지 반복 answer.append(i * x) # x를 곱해서 추가 return answer통과!

codekata 2024.07.18

[프로그래머스] #15 나머지가 1이 되는 수 찾기 (MB, ms 성능확인)

▶ 문제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진다. n을 x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 만들기.  ▶ 제한사항 3 ≤ n ≤ 1,000,000 ▶ 풀이어떻게 짜야할지 전혀 모르겠다.... 일단 종이에 써서 대강 그려보기코드 그리기 끝!이제 이걸 보면서 그대로 코드를 짜보기def solution(n): if n % 2 == 1: # n이 홀수면 return 2 # 답은 항상 2 # n이 짝수면 for i in range(2, n): # 1제외, n-1까지 if (n-1) % i == 0: # (n-1)..

codekata 2024.07.18